주택청약통장의 필요성과 1순위조건들은 어떠한것들이 있는가?
시대가 흐름에 따라서 우리주변의 많은것들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 부동산의 가치변화는 어쩌면 이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세대가 거치고가는 크나큰 고민거리입니다.
부동산가격이 날로 상승함에 따라서 보다 합리적인 비용으로 내집마련을 꿈꾸는 사람들이 늘어가고 있는 추세입니다.
이에 대한 유일한 해결책은 바로 주택청약통장을 통해 내집마련을 하는것입니다. 현재는 주택청약종합저축이란 상품으로
통합해 운영되지만 과거에는 주택청약통장의 종류가 청약저축, 청약예금, 청약부금 3가지로 세분화되어 운영되었습니다.
이들의 통장이 갖는 성격은 비슷했으나 약간의 차이점이 있었습니다.
먼저 청약저축은 만20세이상이면 누구나 주택청약통장을 만들수가 있었습니다.
추가적조건으로는 무주택자이어야 계좌개설이 가능했습니다. 납입금액은 최소20만원에서 가능했으며 월5천원 단위로
자유입금이 가능했습니다. 주택청약통장은 기본적으로 납입한금액 보다는 횟수가 중요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일찍 시작한 사람이 분양당첨확률에 유리한 조건을 얻을수가 있습니다.
청약예금은 앞서 언급한 청약저축과 대부분 조건이 비슷했으나 민영주택에 면적제한이 없다는점이 이주택통장의
차이점이라고 말할수가 있겠습니다.청약부금은 민영주택과 민간건설주택을 청약할 목적으로 가입했던 주택청약통장으로써
청약예금과 차이점이 있다면 25.7평이하 민간주택에 한해서만 청약을 할수가 있었습니다.
이렇게 과거의 단점들을 보완해서 통합운영되는 주택청약통장 금융상품이 오늘날의 주택청약종합저축 이라고 할수있겠습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시중은행에 가면 흔히 듣게되는 이야기가 주택청약통장입니다.
그렇다면 과연 청약이란 과연 무엇일까요? 청약이란 거래를 위한 두사람의 거래자가 있을때 먼저 계약을 요구하는것을 말합니다.
이과정에서 청약이 받아지면 거래가 성사되는것입니다. 건물을 팔고자하는 사람이 있으면 사고자하는 사람이 있기 마련입니다.
이시점에서 어느특정인이 건물을 팔겠다고 서류를 통해 어느 누군가에게 거래를 요청하는것이 청약이라고 말할수가 있겠습니다.
이렇듯 누군가의 승낙이 없으면 거래가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청약은 거래를 위해 요청이 이루어지는 의사표시를 말하는것입니다.
주택청약통장 만들기의 주요목적은 바로 1순위달성이라고 말할수 있습니다.
주택청약통장 1순위의 조건은 가입기간이 최소한 6개월이상이어야 하고 매달 정해진 날에 저축한금액의 합이
예치된금액의 기준이상인 사람에게 주어진다고 할수있습니다. 또한 주택청약통장은 적금처럼 이자도 받을수가
있기 때문에 재테크로써의 활용도 비교적 높은편입니다. 주택청약통장을 통해 분양을 넣게되면 가입자마다
부과되는 가산점조건들이 있습니다. 무주택기간, 부양가족수, 주택청약통장의 가입기간 등에 따라서 가산점점수가 책정이 됩니다.
무주택기간은 길수록 부양가족수는 많을수록 점수가 올라가게 됩니다.
청약기한 또한 기간이 길수록 높은점수를 받을수가 있습니다. 주택청약통장 1순위달성시 중요한대목이라고 말할수가 있겠습니다.
그리고 주택청약통장 1순위에서도 감점조건들이 있다는 사실 알고가셔야합니다.
바로 개인소유주택수에서 5점씩 감점처리가 되니 참고하시는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모든 가산점조건과 감점조건을 종합해
주택청약통장 1순위의 결정을 하게 되는것입니다. 이렇듯 주택청약통장과 같은 금융상품으로 거주비용을 줄이고 보다
합리적인방법으로 내집마련을 하는것이 오늘날을 사는 우리에게 놓인 보다 현명한길이 아닐까 생각되어집니다.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택청약 신청의 의미와 필요성은? (0) | 2017.05.29 |
---|---|
우리은행 주택청약통장들이 갖는 의미는? (0) | 2017.05.24 |
청약저축의 기본조건과 필요성 (0) | 2017.05.22 |
청약저축1순위의 조건과 특징은? (0) | 2017.05.08 |
청약통장만들기전에 기본적으로 알아두어야 할 사항은? (0) | 2017.05.01 |